- [AI학과] '중앙대' 최초합격자 전원 2년 전액장학금 지급…'경희대,연세대' 등 신설
- [미래형 모빌리티 공학과] 공주대·국민대·한국항공대 신설
- 모집단위별 특성 알고 지원해야
인공지능(AI:Artificial Intelligence)과 미래자동차가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 인공지능(AI)은 인간의 학습, 지각, 추론, 이해 능력 등을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실현하는 것으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해 새 시대를 이끌어 갈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인공지능(AI) 분야 전문가의 역할과 중요성은 해를 거듭할수록 더욱 커질 전망이다.
인공지능 관련 학과에서는 수학적 사고와 운영체계, 소프트웨어 개발, 머신러닝, 빅데이터처리, 지능로봇공학, 블록체인 등 AI 개발에 필요한 지식 교육과 여러 학문과 결합해 각 산업과 사회에 인공지능 기술혁신을 선도할 전문가를 양성한다.
교육부가 인재 양성을 목표로 2021년부터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 첨단분야의 입학정원을 늘릴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며 관련 학과가 대거 신설됐다.
미래자동차 산업도 마찬가지이다. 운전자 없이 스스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커넥티드카 등 미래자동차 상용화가 현실화되면서 미래자동차 산업이 주목받고 있다. 자동차 이외에도 차세대 이동수단인 UAM·드론, 딜리버리로봇, Personal Mobility 등의 모빌리티 산업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A사와 함께 2022학년도 정시에서 신설·모집하는 AI와 미래자동차 관련 학과를 정리했다.
[AI학과] '중앙대' 최초합격자 전원 2년 전액장학금 지급…'경희대,연세대' 등 신설
2021학년도에는 가톨릭대, 경기대, 동덕여대, 서울과학기술대, 성신여대, 세종대, 중앙대, 한양대 등이 인공지능(AI) 관련 학과를 신설했다.
이어 2022학년도에는 경희대가 인공지능학과, 국민대가 인공지능학부, AI빅데이터융합경영학과, AI디자인학과, 동국대가 AI융합학부, 연세대가 인공지능학과, 이화여대가 AI융합학부를 신설해 신입생을 선발한다.
국민대는 올해 3개의 인공지능(AI) 관련 학과를 신설했다. 인공지능학부는 컴퓨터공학과 소프트웨어의 기초 지식을 쌓고 핵심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이해 및 응용 능력을 함양함으로써 글로벌 인공지능 분야를 선도할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AI빅데이터융합경영학과는 AI 빅데이터의 기술과 경영학의 융합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통찰력을 이끌어낼 수 있는 디지털 경영 전문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며 인문계와 자연계를 분리해 모집한다.
AI디자인학과는 인공지능(AI)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미래 디자인 방법을 탐구해 인공지능 적응형 디자이너를 양성을 목표로 하며 예체능계열 학과이나 수시모집에서는 학생부종합 전형만으로 선발한다.
이화여대는 AI융합학부(인공지능전공)를 신설하고 정시 나군에서 인문계 8명, 자연계 22명을 선발한다. 학과․학제간 경계를 넘나드는 유연한 사고방식으로 최첨단 인공지능 분야를 선도해 나갈 인재를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연세대는 인공지능학과를 신설해 가군에서 5명을 선발한다. 성적우수 장학금, 기초과목 수업 멘토링 장학금 등을 지원하고, 국제적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해외 산업체 견학 지원, 인공지능 관련 산업 현장 실습 기회 제공 등 연구 참여 기회 등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서울과학기술대는 인공지능응용학과 신입생 전원에게 수업료 전액(4년 8학기)을 장학금으로 지급하고, 인하대는 인공지능공학과 최초합격자 전원에게 등록금 전액(4년 8학기)을 지급한다.
중앙대 AI학과는 최초합격자 전원에게 2년 전액 장학금을 지급한다. 가톨릭대 인공지능학과는 정시 최초합격자 상위 70%에 500만원(1년)의 장학금을 지급하며, 동국대 AI융합학부는 최초합격자 전원에게 수업료의 50%(2학기)를 지급한다.
■ 2022 주요대 인공지능(AI)학과 정시 일반전형 선발 방법
*표 제공=A사
[미래형 모빌리티 공학과] 공주대·국민대·한국항공대 신설
전통적인 기계자동차 분야를 다루는 기존 자동차학과와 다르게 미래자동차 관련 학과에서는 전자, 전기, 정보통신이 결합된 차세대그린카, 스마트카, 드론 등 다양한 미래자동차 및 모빌리티 산업을 이끌어갈 인재육성을 목표로 한다.
2021학년도에는 고려대세종 미래모빌리티학과, 인하대 스마트모빌리티공학과, 전남대 지능형모빌리티융합학과, 충남대 자율운항시스템공학과 등이 신설됐으며 2022학년도에는 공주대 지능형모빌리티공학과, 국민대 미래모빌리티학과, 한국항공대 AI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 등이 신설돼 신입생을 선발한다.
인하대 스마트모빌리티공학과는 최초합격자 전원에게 4년간 등록금(8개 학기 이내) 전액을 지원한다. 한양대 미래자동차공학과는 합격자 전원에게 1~2학년은 전액 장학금을 지급하고, 3~4학년은 산학 장학생 선발자에게 등록금 전액을 지급한다.
■ 2022 주요대 미래자동차학과 정시 일반전형 선발 방법
모집단위별 특성 분석해 지원해야
건국대 스마트운행체공학과는 미래자동차 뿐 아니라 무인항공기 등에 인지, 자율판단 및 제어 등의 지능을 부여하는 미래형 운행체를 개발하는 미래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
국민대는 자동차분야에 특화된 대표적인 대학으로 자동차공학과와 자동차IT융합학과를 운영하고 있으며 2022학년도에는 미래모빌리티학과를 신설했다.
자동차공학과에서는 자동차 엔진 및 파워트레인 시스템 개발, 차체 및 샤시 시스템 개발, 차량 전자제어 시스템 개발 등의 분야에서 핵심 연구개발 요원으로 활동할 수 있는 자동차 전문 엔지니어 배출을 교육 목표로 한다.
자동차IT융합학과는 미래형 자동차 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융합형 전문 엔지니어를 집중 양성한다.
미래모빌리티학과는 자동차융합대학 소속이 아닌 독립학부로 신설해 차세대 이동수단의 개발 및 실현을 위해 친환경 전동화, AI, 빅데이터, Autonomous system 분야의 공학 지식을 융합할 수 있는 차세대 모빌리티 전문 융합 창의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출처 : 문영훈 기자]